구매탄시장
구매탄시장은 1980년대 초 구 매탄아파트 건설 후 아파트 축대 주변으로 노점상이 하나둘 늘면서 노점과 가건물 형태로 상권이 형성되었다. 구매탄 아파트가 재건축되자 가판으로 장사를 하던 상인들이 점포를 분양받아 현재의 시장이 형성되었다.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여울로53번길50-1(매탄동)
- 전화번호 031-211-3936
청개구리 시장 탐험대 | 청시탐탐
구매탄시장은 1980년대 초 구 매탄아파트 건설 후 아파트 축대 주변으로 노점상이 하나둘 늘면서 노점과 가건물 형태로 상권이 형성되었다. 구매탄 아파트가 재건축되자 가판으로 장사를 하던 상인들이 점포를 분양받아 현재의 시장이 형성되었다.
장안구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시장으로 30년 정도의 전통을 지니고 있다, 파장초등학교 앞길 약1㎞ 정도에 노점상이 자리잡기 시작하면서 형성이 되었다는 파장시장은 예전에는 5일장이 서는 날 봇짐장수들이 한양으로 올라가기 전에 이 일대에서 집결하던 곳이었다고 한다. 그만큼 역사가 긴 시장 중 한 곳이다. 2005년 6월 인정시장으로 등록된 파장시장의 이름은 파장동의 ‘파장’에서 유래되었다. 지금은 파장시장이 북수원시장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연무시장의 북쪽으로 광교산이 위치해 있다. 광교산에서는 1급수에서 사는 다슬기만 먹고산다는 반딧불이가 서식하고 있다. 연무시장이라는 명칭은 전국 여러 곳에 있어서 광교산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반딧불이’라는 로고를 사용하여 ‘반딧불이 연무시장’으로 부르고 있다.
정자시장은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 도심 속에 위치해있다. 시장 주변이 정자지구로 개발된 대단지 거주 중심 아파트촌으로 형성되어 있는 밀집 주거지역으로 노년층보다 젊은 층의 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이다. 그래서 정자시장은 전통시장임에도 불구하고 30~40대 주부가 주로 이용하는 젊은 시장이다.
조원시장은 대추 조(棗)에 동산 원(園) 이라는 뜻으로 옛날부터 대추나무가 많아서 ‘대추나무골’ 또는 ‘조원말’ 이라는 마을 명칭의 기원이 되었다.
대추는 제사상에 올리는 제수 중 하나로 정조는 수원에 대추, 밤, 배, 감을 최고의 품질로 재배하여 제향례에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마을을 만들고자하였다. 조원시장은 1975년에 개장해 1982년에 시장이 형성되고, 2008년 5월 인정시장으로 등록됐다. 주요 물품은 채소, 과일, 생선, 반찬, 떡, 건어물, 정육, 잡화, 음식점 등이다.
화서시장은 지리상 서쪽에 위치하여 느지막이 해가 뜨고, 해가 지는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동네인 만큼, 시장상인들에게서도 조급함보다는 느긋한 여유 속에 넉넉한 인심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수원의 22개의 전통시장 중 화서시장은 80년대의 감성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곳인 만큼 ‘유년시절의 향수’와 ‘장보는 맛’이 나는 시장이다.
“본 저작물은 ‘청시탐탐(청개구리시장탐험대탐나지)에서 ‘2019년 5월 24일’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전통시장코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수원시청 홈페이지 (http://www.suwon.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